![]() systole (Systole BP) diastole (Diastole BP) BT (Body Temperature) PR (Pulse Rate) RR (Respiration Rate) SpO2 (O2 Saturation) |
|
![]() 2. 선택 [MENU]-[Analyze]-[Correlate]-[Bivariate] |
![]() 3. 설정 [Variables]에 비교하고자 하는 변수를 넣고, [Pearson]을 선택한다. [OK]를 누른다. |
Systole BP vs. Diastole BP | r = 0.973 | p = 0.000 | 2군간에 강한 양(+)적 선형 상관관계가 있으며, 통계적으로 유의하다. |
Body Temperature vs. Pulse Rate | r = 0.549 | p = 0.000 | 2군간에 중등 양(+)적 선형 상관관계가 있으며, 통계적으로 유의하다. |
Respiration Rate vs. O2 Saturation | r = 0.826 | p = 0.000 | 2군간에 강한 양(+)적 선형 상관관계가 있으며, 통계적으로 유의하다. |
![]() 1. 선택 [MENU]-[Graphs]-[Legacy Dialogs]-[Scatter/Dot] |
![]() [Simple Scatter]를 선택하고 [Define]을 누른다. |
![]() [Y Axis]와[X Axis]에 원하는 변수를 넣고 [OK]를 누른다. |
|
![]() 화면의 그래프를 [double click]한다. |
|
![]() [MENU] -[Elements] -[Fit Line at Total] |
|
![]() 6. Properties [Linear]를 선택하고 [Close]를 누른다. [Chart Editor]를 닫는다. |
![]() 7. Graph 선형 상관관계를 반영하는 Fit Line이 추가된다. 그래프의 우측 상단의 R2 는 [위의 결과 해석에 있는 r의 제곱]을 의미하며, 1 (=100%)에 가까울수록 '설명력이 좋다' 라는 의미이다. 여기서 '설명력이 좋다'라는 것은 통계적 유의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, '선형의 상관성이 좋다'라는 뜻이다. 이 그래프를 풀이하면, Systole BP와 Diastole BP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선형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(p=0.000), 설명력은 94.8%이다(R2=0.948). 또는 위에 있는 r 값을 인용하는 경우 Systole BP와 Diastole BP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선형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(p=0.000), 강한 양적 선형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.(r=0.973) |
r | 선형관계 | 설명 |
---|---|---|
-1.0 ~ -0.7 | 강한 음(-)적 선형관계 | 둘중 하나가 증가하면, 다른 하나는 감소한다. |
-0.7 ~ -0.3 | 중등 음(-)적 선형관계 | |
-0.3 ~ -0.1 | 약한 음(-)적 선형관계 | |
-0.1 ~ +0.1 | 거의 무시될 만한 선형관계 | |
+0.1 ~ +0.3 | 약한 양(+)적 선형관계 | 둘중 하나가 증가하면, 다른 하나도 증가한다. |
+0.3 ~ +0.7 | 중등 양(+)적 선형관계 | |
+0.7 ~ +1.0 | 강한 양(+)적 선형관계 |